이클립스 디컴파일러 플러그인 - EnhancedClassDecompiler 설치방법


설치환경 - Eclipse Mars.2 Release (4.5.2)


URL : https://ecd-plugin.github.io


1. 이클립스 실행 후 마켓플레이스를 실행



2. 검색 - JD (JD로 검색하면 왜 나오는지는 알수없음, 본인예상 : 자바 디컴파일러라 검색되는듯 보여짐)



3. 모든파일을 설치진행



4. 설치확인

설치 전


설치 후




출쳐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nb0102&logNo=3018258469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작업을 하다http://보면 FTP, SFTP에 접속해서 할 때가 많다.

이처럼 원격으로 작업을 할 때면 Edit Plus를 많이 이용을 한다.

이클립스도 에디트플러스처럼 원격 접속을 해서 작업이 가능하다는 사실!

이클립스에서 원격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본다.

(개인적으로 자동 완성을 해주는 이클립스를 좋아하기 때문에 ~ )

 

 

 사용 툴은

Eclipse Standard 4.3.1

(다운로드는 클릭! 카이스트에서 다운로드시 느릴 경우 중국쪽을 이용하면 더 빠를 때가 있다)

 

일명 

KEPLER

이클립스에서

 

Help > Eclipse Marketplace 선택!

(KEPLER부터 마켓이 추가된 듯~ 

  하위 버전 사용시 eclipse remote system explorer로 검색하면 동일한 plug in 추가 가능)

 

 

마켓에서 remote 검색!

Remote System Explorer 설치!

 


 

설치 할 내용 확인!

 


 

설치할 내용에 동의!

 


 

설치 중~~~

 

 

설치가 된 후엔 이클립스 재시작 확인이 뜬다.


 

Window > Open Perspective > Other 선택!

 


 

Remote System Explorer 항목이 보인다.

항목 선택!

 


 

Remote System Explorer로 바뀐 이클립스!

 


 

원격 접속을 위해서 연결을 해야하니 오른쪽 마우스 클릭!

하면 보이는 메뉴 중 New Connection 선택!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이는 메뉴 형태)

 

 

항목이 선택 되었을 때 나오는 메뉴 형태

이렇게 나올 때는 New > Connection 선택!



 

일반 FTP 접속은 파란색 박스

SFTP 접속은 빨간색 박스 선택!

여기서는 SFTP를 선택!(FTP 연결도 크게 다를 것은 없음)

 


 

여기선 Host name에 IP만 입력!

Port를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그건 나중에 따로 입력해야 함!

(Verify host name은 Host name에 입력한 IP 확인. 큰 의미가 없는 것이므로 걍 끔!)

 


 

SFTP 접속 내용이 추가가 됨.

이제 Port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Sftp Files 선택!

아래 Properties 항목 중 Port에 Port 번호 입력.

(User ID라는 항목에 따로 입력하기 전이나 Connect 하기 전엔 사용하는 컴의 이름이 나옴)

 


 

자! 이제 연결할 준비가 다 되었으니 연결!

오른쪽 마우스 클릭! 하면 보이는 메뉴에서 Connect 선택!

(Clear Password는 비활성화 되어 있음! 연결 후 Password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활성화!)

 


 

연결하면 ID, Password를 묻는 화면이 나오는데 내용 입력!

Save password를 선택하면 다음부턴 입력화면이 나오지 않는데 보안을 생각한다면 매번 입력하는게 좋을 듯~

(저장된 password를 삭제하려면 위에 메뉴에서 Clear Password 선택!)

 


 

연결 후에 기본 폴더를 지정하고 싶을 경우엔

Connect Name > Sftp Files > Root 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하면 나오는 메뉴 중 Properties 선택!

 


 

Filter Strings > Selected filter string > Browse 선택해서 기본 폴더 지정!

 


 

모든 설정 후 연결하면 아래처럼 원격 연결된 화면이 보인다~

 


 

 

이렇게 하면 이클립스에서도 에디트플러스처럼 원격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클립스 indent guide


이클립스 에디터는 들여쓰기 선을 지원하지 않아서 불편한 부분이 있다.

심지어 line spacing은 지원요청이 10여년 동안 있었음에도 추가할 의지가 없어보인다 -_-;;

EditorConfig 같은 플러그인으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듯 하지만

필요한 것은 indent guide 뿐이므로 간단히 플러그인 하나만 설치 해보겠다.

https://sschaef.github.io/IndentGuide/ 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이 하나 있다.


설치방법은

  1. 이클립스를 켜고 help > install new Software

  2. Add 버튼을 누르고 Name은 적당히 채운 뒤 Location에 https://sschaef.github.io/IndentGuide/update/ 를 입력한다.

  3. OK를 누르면 아래 목록에 플러그인이 나타나는데 체크한 뒤 설치하면 된다


설치가 끝나면

  1. 이클립스 window > Preferences에 들어가서

  2. General > Editors > TextEditors > Indent Guide 에서 세부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플러그인 업데이트 지원이 끊긴 것인지 설정이 끝나도 가이드 선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아무래도 이클립스와의 호환 문제로 설정파일을 생성하지 못하는 듯 하다.

그럴 때는 첨부파일을 현재 작업중인 Workspace 폴더 아래에 있는

.metadata/.plugins/org.eclipse.core.runtime/.settings

폴더에 넣고 이클립스를 다시 실행해주자


jp.sourceforge.pdt_tools.indentGuide.prefs



출처: http://diptacid.tistory.com/35 [IGNIS DEI]

버전마다 디자인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1. Help -> Eclipse Marketplace.....


2. FInd에 SVN 또는 subversion등으로 검색 > Subersive - SVN Team Provider를 install


3. 구성요소 선택 후 Next (잘 모른다면 모두 선택 후 설치 권장)


4. 동의 선택 후 Finish


5. 설치 완료 후 재시작 메세지가 출력되면 이클립스를 재시작


6. 이클립스 재시작 후 커넥터를 설치(SVN kit 1.7.x 버전 선택 후 Finish)


7. 설치할 항목 선택 후 Next(잘 모르른다면 모두 선택 후 설치 권장)


8. 설치할 항목 선택 후 Next(잘 모르른다면 모두 선택 후 설치 권장)


9. 동의 선택 후 Finish


10. 설치 중 경고 메세지가 뜬다, 요약하자면 서명이 되지않은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는 내용이다.

     OK를 선택하여 진행


11. 설치 완료 후 재시작 메세지가 출력되면 이클립스를 재시작


12. 모든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Window ->Preferences  -> Team -> SVN -> SVN Connector 에

    설치된 kit이 존재한다.


추가 : Window ->Preferences -> Team -> SVN -> SVN Connector에서 설치된 kit이 없거나

        커넥터설치를 못했다면 Get Connectors... 를 선택한 후 6번 부터 다시 진행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잘돌아가던 이클립스에서 톰캣 실행 시 갑자기 class를 찾지 못한다는 오류가 발생하면서,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한번씩 생기는데...
 
<Case 1>
2012. 4. 3 오전 11:18:5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 listenerStart
심각: Error configuring application listener of class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at org.apache.catalina.loader.WebappClassLoader.loadClass(WebappClassLoader.java:1688)
    at org.apache.catalina.loader.WebappClassLoader.loadClass(WebappClassLoader.java:1533)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loadClass(DefaultInstanceManager.java:525)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loadClassMaybePrivileged(DefaultInstanceManager.java:507)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newInstance(DefaultInstanceManager.java:124)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listenerStart(StandardContext.java:4701)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StandardContext.java:5260)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50)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525)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515)
    at java.util.concurrent.FutureTask$Sync.innerRun(FutureTask.java:303)
    at 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138)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ask(ThreadPoolExecutor.java:886)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908)
    at java.lang.Thread.run(Thread.java:662)
 
<Case 2>
6월 10, 2013 1:54:15 오후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 listenerStart
SEVERE: Error configuring application listener of class org.springframework.web.util.Log4jConfigListener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org.springframework.web.util.Log4jConfigListener
    at org.apache.catalina.loader.WebappClassLoader.loadClass(WebappClassLoader.java:1713)
    at org.apache.catalina.loader.WebappClassLoader.loadClass(WebappClassLoader.java:1558)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loadClass(DefaultInstanceManager.java:527)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loadClassMaybePrivileged(DefaultInstanceManager.java:509)
    at org.apache.catalina.core.DefaultInstanceManager.newInstance(DefaultInstanceManager.java:137)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listenerStart(StandardContext.java:4823)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StandardContext.java:5381)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50)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559)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549)
    at java.util.concurrent.FutureTask$Sync.innerRun(FutureTask.java:334)
    at 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166)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45)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15)
    at java.lang.Thread.run(Thread.java:722)
 
두가지 경우 모두 maven dependency를 등록해주면 된다.
 
프로젝트 >> properties >> Deployment Assembly를 선택한 후,
"Add" >> Java Build Path Entries >> Maven Dependencies 선택한 후, "Apply"를 해준다.
 
톰캣 재시작하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메이븐 메뉴에서 "Update Project Configuration"를 실행하는 경우,
해당 정보가 삭제되므로 다시 등록해주면 된다.


+ Recent posts